| 1 |
| 2 |
| 3 |
조선시대 석제 차절구로 절구의 정면에 ‘茶’자가 새겨져 있다.
| 4 |
백자주자 / 조선 19세기 후반
| 5 |
향노리개는 장식성 뿐만 아니라 실용성도 같이 겸한 것으로 은은하게 향내를 내는 효과가 있다.
| 6 |
| 7 |
| 8 |
삼국시대 귀걸이는 고리의 굵기에 따라 굵은 고리는 태환식, 가는 고리는 세환식으로 구분된다.
특히 신라에서 제작한 귀걸이는 작은 알갱이를 붙인 누금세공기법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여 섬세하고 뛰어난 금속공예기술을 보여준다.
| 9 |
일명 ‘떨첨반자’라고도 하는 떨잠은 의식 때 왕비를 비롯한 내외명부가 예복을 입고 어여머리나 큰머리에 꽂는 최고의 머리장식품이다.
머리 앞 중앙에 꽂는 것은 선봉잠이라 하고, 양편에 꽂는 것을 떨잠이라 한다.
| 10 |
경대는 화장도구 중 하나로 화장 및 머리를 빗을 때 사용하는 가구로서 느티나무와 먹감나무를 주로 사용하였다.
'문화와 예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희생 (0) | 2012.06.22 |
---|---|
숲속의 음악회 (0) | 2012.06.22 |
아모레퍼시픽박물관 2 (0) | 2012.06.22 |
아모레퍼시픽박물관 1 (0) | 2012.06.22 |
한국의 도자기 3 (0) | 2012.06.22 |